728x90
반응형
1. 개요
가. 개념 정의
- 단열이란 필요한 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열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함
▪단열의 목적은 열손실 방지에 의한 에너지 절감, 실내의 쾌적성 유지, 유체의 동결방지, 허용온도 유지 외에도 화재로 인한 인명·재산의 피해 예방, 결로 방지 등임
- 단열재란 이러한 열의 유입·유출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총칭함
▪단열재의 용도 중 가장 큰 분야는 주택이나 빌딩 등 건축물의 단열·방화를 위한 내외장재임
- 최근 건물의 단열성과 내화성을 강화하는 세계적 추세 속에 고성능·고효율 단열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아파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건축물과 대형 냉동 창고, 자동차, 냉장고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됨 - 정부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의 37%를 감축하기로 국제 사회에 공언하는 등 지속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지구 환경 개선 노력과 맞물려 에너지소비량이 많은 산업용시장에도 고효율 단열재 사용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건물 화재 사건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단열재 재질이 부각됨. 최근 대형건물의 화재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면서, 건물용 단열재의 불연성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임
▪과거 고층건물에만 적용되던 단열법령이 5층 이하의 저층 주거용 건축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개정 추진 중, 건축 허가를 신청할 때 단열재에 대한 성능을 의무적으로 표시
나. 중요성 및 의의
-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사용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단열재업계는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단열성능기준 강화, 화재피해 경감을 위한 불연자재 적용 등 아파트, 빌딩 등의 주택과 건축물의 고급화, 첨단화가 진행되면서 고성능·고효율 단열재에 대한 관심이 집중
▪국내에서 대형건물의 화재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면서, 2016년 4월 화재 안전기준 강화법 시행, 외벽에 불연·준불연 단열재를 의무 사용해야 하는 건축물을 30층 이상에서 6층 이상으로 대상을 확대, 공동주택 단열 성능 기준도 강화
▪최근에는 고층건물에만 적용되던 단열법령이 5층 이하의 저층 주거용 건축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개정 추진 중, 건축 허가를 신청할 때 단열재에 대한 성능을 의무적으로 표시
▪최근 환경 이슈와 관련하여 기존 제품 대체 수요 및 신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단열재 수요 확대가 기대됨 - 고성능 단열재와 고기밀성 창호 등을 채택,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패시브(Passive) 기술 등으로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높여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축한 제로 에너지 빌딩(zero-energy building) 또는 에너지 제로 하우스 등 제로에너지 건축이 의무화됨
다. 가치사슬 구조 및 분류
가치사슬
용도별 분류
기타분류 방법
2. 산업 분석
가. 산업 동향
- 정부의 그린 리모델링 정책 확대와 이천 물류센터 사고의 후속 조치로 발표된 범정부 TF의 단열재 관련 규제에 따라 단열재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상됨
- 2022년부터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를 유기단열재를 사용 못하게 하고 그라스울 등 무기단열재로 의무화함
- 공장과 창고 외벽 마감재로 주로 쓰이는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 단열재를 준불연 이상의 성능 기준을 적용하고, 2022년부터는 무기단열재만 사용이 가능해져 그라스울 업계는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발포제 혁신 통한 단열재시장 성장방향 제시
- 온실가스, 단열성능 등 다양한 이슈에 직면
- 정부의 그린 리모델링 사업 확대
- 고성능, 고효율, 친환경 단열재 수요 증가
나. 시장 동향 및 전망
(1) 세계시장
- 단열재는 건물, 구조물의 모든 표면에 적용되며, 음향, 내화성 및 내충격성을 포함하여 구조물과 관련된 특성을 개선하는 바, 단열재 시장은 그 재료별로 크게 플라스틱 폼(XPS, EPS 등), 미네랄 울, 유리섬유 단열재(그라스 울)로 나눌 수 있음
▪전체적으로 그라스울, EPS, 기타(우레탄, 페놀, 스티로폼), XPS, 미네랄울 등의 증가추세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2)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가. 기술 개발 이슈
나. 연구 개발 동향
다. 핵심 플레이어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 세계의 주요 고성능 단열재 제조업체
▪미네랄울계 무기단열재는 Exceed Industries(UAE), Knauf Insulation(독일), Rockwool(덴마크), Thermafiber(미국), YBS Insulation(영국) 등이 생산하고 있음
▪그라스울계 무기단열재는 Certain Teed(미국), CSR(호주), Knauf Insulation(독일), PFG Fibreglass(대만), Yixing Fibreglass(중국) 등이 생산하고 있음
▪에어로겔 단열재는 Aspen Aerogels(미국), Cabot(미국), Duo-Gard Industries(미국), Thermablok(영국) 등이 생산하고 있음
▪진공단열재(VIP)는
등이 생산하고 있음
Construction Systems Marketing(영국), Evonik(독일), Microtherm(벨기에)
▪페놀폼 단열재는 Dow Chemical이, BASF는 EPS, XPS 등, 스티로폴계 단열재를 생산하고 있음 - Dow Chemical(다우 케미칼)
- BASF
- CertainTeed Corporation
- ibertec, Inc
- Owens Corning
- Johns Manville Corporation
R-30의 단열성능, 흡음성, 내연성을 고루 갖춘 유리 섬유 단열매트(ComfortTherm®) 양산 중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
4. 공급망 분석
가. 시장 매력도
나. 생산 공백 정도
다. 해외 지향성
라. 수입 리스크
마. 수출산업화
바. 경쟁력 현황
728x90
반응형
'생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착제 VS 점착제 (0) | 2025.02.05 |
---|---|
중소기업 기술국산화 전략품목 수성 점착제 정의 및 분류 (2) | 2025.02.05 |
성과관리 기법 OKR, KPI, MBO 알아보아요 (0) | 2025.02.04 |
2025년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구매연계) 상반기 시행계획 공고 (0) | 2025.02.03 |
인도네시아 할랄인증 미리알고 대응하세요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