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TIP

납품장소 차상도, 납품장소 하차도, 생산공장 상차도 구분해봐요

by bigstore4rang 2025. 4. 2.
728x90
반응형

나라장터 공고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상차도"**와 **"하차도"**는 물품의 인도 조건을 나타내는 용어로, 물품의 운송 및 인도 과정에서 비용과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명확히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운반비 누가 줄건데...?

 

1. 납품장소차상도

  • 의미: 물품을 지정된 납품 장소까지 운송한 뒤, 차량에 실린 상태(상차 상태)로 구매자가 인수하는 조건입니다.
  • 책임 분담:
    • 판매자: 물품을 납품 장소까지 운송하는 책임을 부담합니다.
    • 구매자: 차량에서 물품을 내리는 하차 작업과 관련된 비용 및 책임을 부담합니다.
  • 특징:
    • 판매자는 운송비를 부담하지만, 하차비는 구매자가 부담합니다.
    • 물품은 차량에 실린 상태로 인도됩니다.

 

2. 납품장소하차도

  • 의미: 물품을 지정된 납품 장소까지 운송한 뒤, 차량에서 물품을 내려(하차)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조건입니다.
  • 책임 분담:
    • 판매자: 운송비와 하차비를 모두 부담하며, 물품을 하차한 상태로 구매자에게 인도합니다.
    • 구매자: 하차 이후의 물품 관리 및 설치 등의 책임을 부담합니다.
  • 특징:
    • 판매자가 운송과 하차 작업까지 책임지므로 구매자는 추가 비용 부담이 없습니다.
    • 물품은 하차된 상태로 인도됩니다.

 

3. 생산공장상차도

  • 의미: 물품을 판매자의 생산 공장에서 구매자가 제공한 운송수단(차량)에 적재(상차)해주는 조건입니다.
  • 책임 분담:
    • 판매자: 공장에서 물품을 차량에 싣는 상차 작업까지만 책임집니다.
    • 구매자: 상차 이후의 운송비, 하차비, 그리고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부담합니다.
  • 특징:
    • 구매자가 직접 운송수단을 준비해야 하며, 물품을 공장에서 인수합니다.
    • 판매자는 운반비와 하차비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납품장소차상도는 운송만 책임지고 하차는 구매자가 부담하며, 납품장소하차도는 판매자가 운송과 하차를 모두 책임집니다. 반면, 생산공장상차도는 구매자가 직접 운송을 계획하고 공장에서 물품을 인수하는 조건입니다. 계약 시 이러한 조건을 명확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