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TEXT 함수 마스터하기: 엑셀/구글시트 날짜(2025-11-06)를 연, 월, 일, 요일로 완벽 추출하는 방법!

by bigstore4rang 2025. 11. 6.
728x90
반응형

 

📆 날짜 데이터, 원하는 형식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으신가요? Google 시트나 Excel에서 텍스트 함수(TEXT 함수)를 사용하여 셀의 날짜(`2025-11-06`)를 '연', '월', '일', '요일' 등 원하는 형태로 쉽고 정확하게 추출하는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직장 생활을 하든, 개인적인 자료 정리를 하든, 날짜 데이터를 다룰 일이 참 많죠? 그런데 기본 날짜 서식인 '2025-11-06' 같은 데이터를 단순히 텍스트로 복사 붙여넣기 하거나, 특정 값(예: '요일'이나 '몇 년')만 쏙 빼고 싶을 때가 있어요. 특히 보고서나 데이터 분석 자료를 만들 때는 형식을 딱 맞춰야 하잖아요. 😥

이럴 때 구글 시트와 엑셀의 마법 같은 함수, 바로 TEXT 함수가 빛을 발합니다! TEXT 함수는 날짜뿐만 아니라 숫자까지도 원하는 텍스트 포맷으로 바꿔주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에요. 제가 직접 써보고 터득한 꿀팁과 함께, 날짜 데이터를 연/월/일/요일별로 깔끔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쉽고 친근하게 알려드릴게요! 😊

 

 

TEXT 함수 기본 문법 이해하기 💡

TEXT 함수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인수를 사용합니다. 문법은 간단해요.

TEXT 함수 구조 📝

**=TEXT(값, "서식 코드")**

  • 값 (Value): 서식을 지정하려는 원본 셀이나 데이터 (예: A1 셀)
  • 서식 코드 (Format Code): 결과를 어떤 형식으로 보여줄지 지정하는 텍스트 (예: "yyyy년", "dd" 등)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두 번째 인수인 "서식 코드"예요. 날짜에서 연, 월, 일, 요일을 나타내는 코드가 각각 있답니다.

 

핵심! 날짜 추출을 위한 서식 코드표 📋

날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추출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서식 코드와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해봤어요. 원본 셀(A1)에 **2025-11-06**이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할게요.

목표 추출 값 사용할 TEXT 함수 결과 (A1=2025-11-06)
연도 (4자리) =TEXT(A1, "yyyy") 2025
월 (숫자 2자리) =TEXT(A1, "mm") 11
일 (숫자 2자리) =TEXT(A1, "dd") 06
요일 (한 글자) =TEXT(A1, "aaa")
요일 (세 글자) =TEXT(A1, "aaaa") 목요일
전체 서식 =TEXT(A1, "yyyy년 mm월 dd일 (aaaa)") 2025년 11월 06일 (목요일)

 

날짜 추출 실전 응용: TEXT 함수 조합 🔧

TEXT 함수는 추출뿐만 아니라 다른 텍스트와 결합해서 쓰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바로 우리가 원하는, '2025년, 11월, 6일, 목요일'처럼 각 정보를 분리해서 표시하는 방법이죠!

  1. 연도 추출:=TEXT(A1, "yyyy년") → 2025년
  2. 월 추출:=TEXT(A1, "mm월") → 11월
  3. *Tip: 1~9월을 '1월, 2월'처럼 앞에 0을 빼고 싶다면 "m월"을 사용하세요!
  4. 일 추출:=TEXT(A1, "d일") → 6일
  5. *Tip: 1~9일을 '01일, 02일'처럼 앞에 0을 붙이려면 "dd일"을 사용하세요!
  6. 요일 추출:=TEXT(A1, "aaaa") → 목요일
 
📌 최종 목표를 위한 TEXT 함수 결합!
A1 셀의 날짜를 '2025년, 11월, 6일, 목요일'로 분리하여 각 셀(B1, C1, D1, E1)에 넣고 싶다면 이렇게 입력하세요!
  • B1 셀: =TEXT(A1, "yyyy년")
  • C1 셀: =TEXT(A1, "m월")
  • D1 셀: =TEXT(A1, "d일")
  • E1 셀: =TEXT(A1, "aaaa")

 

잠깐! 주의해야 할 점 ⚠️ (데이터 타입)

⚠️ 주의하세요! TEXT 함수 결과는 텍스트(문자열)입니다!
TEXT 함수를 사용해 추출된 결과값은 숫자가 아닌 텍스트로 인식됩니다. 만약 추출된 연도나 월을 가지고 나중에 사칙연산이나 다른 계산을 해야 한다면, VALUE 함수를 사용하여 다시 숫자로 변환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TEXT 함수로 추출한 '2025년'에서 '년'을 제외하고 숫자 '2025'로 계산에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VALUE(TEXT(A1, "yyyy")) 형태로 함수를 감싸주어야 계산이 가능해진다는 점, 꼭 기억해 두세요! 🧐

 

TEXT 함수 활용 핵심 요약

핵심 서식 코드: 날짜를 추출하려면 "y", "m", "d", "a" 코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숫자를 텍스트로 변환할 때는 "0"을 사용하세요.
요일 표기법: 짧은 요일(목)은 "aaa", 긴 요일(목요일)은 "aaaa"를 사용합니다.
최종 공식 예시:
=TEXT(A1, "yyyy년") & ", " & TEXT(A1, "m월") & ", " & TEXT(A1, "d일") & ", " & TEXT(A1, "aaaa")
데이터 타입 유의: TEXT 함수 결과는 텍스트이므로, 계산이 필요하면 VALUE 함수로 다시 숫자로 변환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

Q: TEXT 함수를 쓰지 않고 날짜의 일부분만 추출할 수는 없나요?
A: DATEVALUE 함수(날짜를 숫자로 변환)와 LEFT, MID, RIGHT 함수를 조합해서 텍스트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지만, 날짜가 숫자 형태로 셀에 저장되어 있을 때는 TEXT 함수가 가장 정확하고 편리합니다. 복잡한 수식 대신 간단하게 =YEAR(A1), =MONTH(A1) 함수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서식을 지정할 때는 TEXT 함수가 필수예요.
Q: 왜 TEXT 함수에서 서식 코드를 큰따옴표("")로 묶어야 하나요?
A: 👉 TEXT 함수는 결과를 '텍스트(문자열)'로 반환하기 때문에, 두 번째 인수인 서식 코드 역시 텍스트임을 알려주기 위해 큰따옴표로 묶어줍니다. 만약 서식 코드가 큰따옴표로 묶이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그것을 숫자가 아닌 정의되지 않은 함수나 이름으로 인식하여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Q: 엑셀과 구글 시트에서 TEXT 함수의 사용법이 다른가요?
A: 👉 기본 문법과 서식 코드는 거의 100% 동일합니다. 다만, 일부 구글 시트에서는 "E"와 같은 국가별 로케일 서식 코드에 대한 지원이 엑셀과 미세하게 다를 수 있지만, 연/월/일/요일을 추출하는 기본 서식("y", "m", "d", "a")은 모두 완벽하게 호환됩니다. 걱정 말고 사용하세요!

TEXT 함수는 얼핏 복잡해 보이지만, "서식 코드"만 잘 외우면 데이터 정리 능력이 확 올라가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에요. 이제 여러분의 스프레드시트도 원하는 대로 깔끔하게 정돈해 보세요! 😊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728x90
반응형